C#m7=D♭m7, D#m7=E♭m7 기타코드
본문 바로가기
기타 코드

C#m7=D♭m7, D#m7=E♭m7 기타코드

by Soda Guitar 2022. 10. 10.
반응형

이번 포스팅부터는 샵과 프렛의 m7코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주 쉽게 익힐 수 있는 코드들이니 잘 익혀서 여러분의 연주에 써먹으시기 바랍니다.

 

C#m7=D ♭ m7, D#m7=E ♭ m7
C#m7=D ♭ m7, D#m7=E ♭ m7

 

1) C#m7 = D♭m7 코드

 

C#m7=D♭m7 바레코드
C#m7=D ♭ m7 바레코드

 

  1. 검지로 4 프렛 1-5번 줄을 잡습니다. 동시에 6번 줄을 검지 손가락 끝부분으로 뮤트 합니다.
  2. 중지로 5 프렛 2번 줄을 잡습니다.
  3. 약지로 6 프렛 4번 줄을 잡습니다.

C#m7=D♭m7 바레코드 실사
C#m7=D ♭ m7 바레코드 실사

 

이 코드에서 조심하셔야 할 부분은 약지를 잘 세워서 잡아야 3번 줄 소리를 방해하지 않고 울릴 수 있다는 겁니다. 약지가 3번 줄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그리고 전체 바레가 아닌 부분 바레로 잡기 때문에 검지의 힘은 조금 덜 들어가지만 그래도 3번 줄이 소리가 잘 날 수 있게 힘을 주어서 잡으세요. 다음은 오픈 코드 형태입니다.

C#m7=D♭m7 오픈코드
C#m7=D ♭ m7 오픈코드

  1. 검지로 4 프렛 5번 줄을 잡습니다. 
  2. 약지로 6 프렛 4번 줄을 잡습니다.
  3. 소지로 6 프렛 3번 줄을 잡습니다.

C#m7=D♭m7 오픈코드 실사
C#m7=D ♭ m7 오픈코드 실사

 

의외로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코드입니다. 그래서 보통 기타 배우 신지 얼마 안 된 분들은 바레 코드로만 잡는데 이 폼으로 잡으면 아주 풍성한 소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바레 코드랑은 다르게 고음 부분인 1,2번 줄을 개방현으로 만들어버려서 중저음의 소리를 더 얻을 수 있는 코드입니다.

 

바레 코드랑 오픈 코드 폼 둘 다 익혀놓으시고 필요한 곳에서 적절하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6번 줄 뮤트에 관한 건데 검지 손가락 끝부분으로 하셔도 되고 중지로 하셔도 됩니다.

 

저는 검지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음은 D#m7=E♭m7 코드입니다.

 

 

2) D#m7 = E♭m7 코드

 

D#m7=E♭m7 바레코드
D#m7=E ♭ m7 바레코드

 

  1. 검지로 6 프렛 1-5번 줄을 잡습니다. 동시에 6번 줄을 검지 끝 부분을 사용하여 뮤트 합니다.
  2. 중지로 7 프렛 2번 줄을 잡습니다.
  3. 약지로 8 프렛 4번 줄을 잡습니다.

D#m7=E♭m7 바레코드 실사
D#m7=E ♭ m7 바레코드 실사

 

여기서 조심하여야 할부분은 3번 줄입니다. 4번 줄을 잡고 있는 약지가 3번 줄에 닿아서 3번 줄을 뮤트 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이 코드 폼의 핵심입니다.

 

다음은 오픈 코드인데 근음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두 가지 형태로 나뉘게 됩니다.

D#m7=E♭m7 오픈코드 (근음있음)
D#m7=E ♭ m7 오픈코드 (근음있음)

  1. 검지로 1 프렛 4번 줄을 잡습니다.
  2. 중지로 2 프렛 1,2번 줄을 부분 바레로 잡습니다.
  3. 소지로 3 프렛 3번 줄을 잡습니다.
  4. 약지로 6,5번 줄을 뮤트 합니다.

D#m7=E♭m7 오픈코드 (근음있음)
D#m7=E ♭ m7 오픈코드 (근음있음)

 

소지로 3번 줄을 잡은 이유는 소지가 짧기 때문에 6,5번 줄 뮤트 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약지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중지 부분으로 부분 바레를 하셔야 하는데 이 부분이 조금 어렵습니다.  다른 손가락들의 운지로 중지가 자꾸 떠있게 되어 1번 줄을 잡기 어렵습니다.

 

 

결론은 이 코드 폼은 잡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그것보다는 차라리 근음이 없는 코드를 추천합니다.

D#m7=E♭m7 오픈코드 (근음없음)
D#m7=E ♭ m7 오픈코드 (근음없음)

 

  1. 검지로 2 프렛 1,2번 줄을 부분 바레로 잡습니다.
  2. 중지로 3 프렛 3번 줄을 잡습니다.
  3. 약지로 6,5,4줄을 잡습니다.

D#m7=E♭m7 오픈코드 (근음없음) 실사
D#m7=E ♭ m7 오픈코드 (근음없음) 실사

 

근음이 없어서 약간 허전한 코드 일지 모르지만 잡기는 근음을 포함해야 폼보다는 훨씬 쉽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여러분이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근음의 풍성한 저음을 넣고 할 것인지 아니면 더 편한 폼을 이용할 것인지는 여러분의 몫으로 남기겠습니다. 저는 폼이 편한 후자의 것을 주로 사용합니다.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샵과 프렛의 7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계속 잡고 연습하세요. 그것만이 익숙해지는 길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이나 다른 의견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스트로크 - 왈츠리듬

왈츠리듬은 3/4 또는 6/8박자로 되어있는 리듬 패턴입니다. 보통 동요 같은 곡에서 많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에델바이스' , '곰 세 마리' , '옹달샘' 등의 동요등에서 왈츠리듬을 사용합니다. 대중

sodaguitar0238.tistory.com

 

기타줄 교체시기

기타 줄 교체시기는 많은 변수가 존재합니다. 그것은 여름이냐, 겨울이냐에 따른 계절에 의한 습도의 차이, 줄을 기타에 설치해 놓은 시간이나, 연주를 얼마나 했는지, 연주가 끝난 뒤의 뒤처리

sodaguitar02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