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기타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렉기타의 많은 종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트라토캐스터를 바탕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렉기타도 다른 기타 종류와 다를 바 없이 큰 부분으로 나누면 헤드, 넥, 바디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1. 헤드 (Head)
헤드 부분에는 줄을 감을 수 있는 페그 부분이 존재합니다. 페그 말고도 줄감개, 튜닝키, 튜닝머신등 다양한 이름이 있습니다. 모두 맞는 이름이니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됩니다.
페그는 돌려서 줄을 감거나 푸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헤드 부분에는 보통 기타를 제조한 회사의 회사명을 집어넣습니다. 헤드 반대편 부분에는 기타 고유의 시리얼 넘버를 집어넣습니다.
맞춤기타의 경우는 기타리스트의 이름이나 이니셜을 넣는 경우도 있는데 굉장히 드문 경우입니다.
2. 넥 (Neck)
다양한 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곳이 이곳입니다. 손가락으로 짚어서 많은 계이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넥의 윗부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너트, 상현주라 불리는 부분은 헤드 쪽의 기타 줄을 지탱시켜 받쳐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너트가 없다면 기타 줄이 그대로 넥에 달라붙어 줄이 진동하는 것을 막아버립니다. 즉 반드시 필요한 파트입니다.
✅ 프렛은 지판 위에 일자로 쭉 나열되어 있는 쇠막대기를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각 계이름을 반음단위로 구분 짓기 위해 설치된 부품입니다.
대부분의 현악기에는 없는 기타 계열이나 우쿨렐레 같은 악기에만 설정되어 있는 고유의 부품입니다. 프렛은 사용하다 보면 마모가 되어 더 이상 제 역할을 못하게 되니 부품을 갈아줘야 합니다.
갈아주는 것은 직접 하셔도 되지만 가급적 리페어 샵에 가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더 편합니다.
✅ 지판은 넥 윗부분의 전체를 이야기합니다. 손가락으로 짚는 판이라고 해서 지판이라고 합니다.
✅ 포지션 마크는 어디가 몇 프렛인지를 손쉽게 알려주는 이정표 같은 존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타를 처음 하시는 분들은 약간 혼란스러워하시겠지만 기타에 익숙해지면 포지션 마크로 인해서 손쉽게 프렛이 몇 프렛이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넥의 옆부분에도 포지션마크가 달려있습니다. 기타 지판을 봐가면서 포지션 마크를 보기에는 불편하기 때문에 옆부분에서 확인하기 위해서 달려있습니다.
3. 바디 (Body)
가장 많은 부품이 달려있는 곳입니다. 바디는 통기타에 비해서 훨씬 얇습니다. 그 이유는 전자기 타는 소리를 낼 때 통이 필요하지 않고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연결돼 있는 앰프를 통해서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 픽업이란 부분은 기타 줄을 튕겼을 때 나오는 진동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가장 위에 있는 부분가 가운데 있는 것을 '싱글 픽업'이라 하고 브릿지 근처에 있는 게 '험버커 픽업'이라고 합니다.
✅ 픽업실렉터는 여러 픽업 중 어떤 픽업을 쓸지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픽업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볼륨과 톤 노브는 말 그대로 볼륨과 톤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기타에 따라서 노브의 개수가 달라지는데 보통은 2~3개가 기본이며 어떤 것은 4~5개 인 특별한 기타도 있습니다.
✅ 브릿지는 기타 줄을 고정시키는 부분이며 넥의 너트와 같이 기타 줄을 받쳐 올려 줄의 진동을 바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스트랩핀과 앤드핀은 기타를 서서 연주할 때 사용하는 스트랩이란 끈을 연결시켜는 부분입니다. 이것이 있어야 기타를 서서 자유롭게 연주하실 수 있습니다.
✅ 아웃풋 잭은 기타 케이블을 앰프랑 연결시켜 주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입니다. 보통은 바디 앞부분에 달려있는 경우가 많지만 위 사진의 경우는 옆에 달려 있습니다.

✅ 피크보호대는 피크로 스트럼을 할 때 피크가 바디에 닿아서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있는 부분입니다. 모든 기타 종류에 있는 것은 아니니 기타를 고르실 때 잘 보고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일단 가볍게 일렉기타 구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른 종류도 천천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시면서 질문이 있거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꼭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일렉기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일렉기타의 정식 명칭은 일렉트릭 기타(Electric guitar)입니다. 일렉트릭은 전기란 뜻입니다. 그래서 기타 줄을 튕겼을 때 나오는 신호를 픽업이라는 장치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앰프로 소리를
sodaguitar0238.tistory.com
기타 프렛의 길이가 다른 이유?
기타의 넥을 살펴보면 지판이 있고 거기에 각기 다른 간격의 프렛이 박혀 있습니다. 프렛은 음악에 존재하는 12가지의 음을 더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 설치해 놓은 것입니다. 다른 현악기들과의
sodaguitar0238.tistory.com
'음악 이론 > 기타 해부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렉기타 픽업과 브릿지 (0) | 2024.05.27 |
---|---|
일렉기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4.05.04 |
기타를 골라야 할때 알아야 할 3가지 (0) | 2023.11.11 |
통기타 또는 어쿠스틱 기타의 구조와 명칭 (0) | 2022.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