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나올 때마다 피하고 싶던 Dim코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 D, G 같은 기본코드만 쳐오다가 악보에 갑자기 Dim 코드 나오면 급 당황하시지는 않으셨습니까?
그러고 나서 그 곡은 포기하고 Dim 코드가 없는 곡을 찾아서 하시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시지는 않으신가요? 제 포스팅을 보시고 Dim코드를 완전히 정복해 봅시다.
1) Dim 코드의 정의와 특징
Dim코드란 Diminished 란 말의 줄임말로써 '감소하다, 줄이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음악적인 요소로 이야기하면 자연단음계(Natural minor scale)에서 5도를 반음 내리는 것이 dim 코드의 특징입니다.
자연단음계를 간단하게만 설명하면 메이저스케일처럼 7개 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2도와 3도, 그리고 5도와 6도 사이가 반음거리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 한 가지 dim코드의 특징은 메이저코드가 아닌 마이너코드가 기본입니다. 마이너 코드 구성음 상태에서 5도를 내리는 것입니다. 자연단음계를 밑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마이너코드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Em코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Em코드의 구성음은 E, G, B입니다. 그런데 Edim 코드는 5도인 B를 반음 낮춰서 E, G, B♭의 구성음이 되게 됩니다.
2) Dim과 Dim7 코드
제목에 나온 이 2개는 어떤 차이점이 존재할까요? 간단하게 Dim은 3화음이고 Dim7은 4화음입니다. 제 포스팅을 많이 봐오신 분들이라면 아실 겁니다.
코드이름 옆에 7이라는 숫자가 붙으면 100% 4화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두 코드의 구성음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Dim : 1, ♭3, ♭5
Dim7 : 1, ♭3, ♭5, ♭♭7
두 코드의 차이 확실하게 구분되죠? 자세히 보니까 Dim7의 7도는 플렛 2개 (더블플렛: Double Flats)가 붙어있습니다. 그러면 이해하기 쉽도록 Gdim7 코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Gdim7: G, B♭, D♭, E
먼저 일반 Gm7코드의 경우는 1, ♭3, 5, ♭7 = G, B♭, D, F의 구성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하프 디미니시 코드인 Gm7-5의 형태로 바꿔보겠습니다.
(1, ♭3, ♭5, ♭7 = G, B♭, D♭, F)
Half Diminish 코드의 구성음에 의해 5도가 반음 내려갔습니다.
그리고 7도를 보시면 이미 플렛이 하나 붙은 상태입니다. Dim7코드는 플렛이 두 개 붙어야 하기 때문에 7도 F음에 플렛을 하나 더 붙여줍니다. 그러면 Fb이 되고 이것은 곧 E가 됩니다.
왜냐하면 E 하고 F사이는 G키 자연단음계의 특성상 5도 6도가 됩니다. 아까 5도 6도 사이는 반음관계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F에서 플렛이 하나 붙여지면 E가 되는 겁니다.
여기까지 이해가 되셨나요? 그러면 피아노 건반을 통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피아노 건반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Dim7코드의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각 구성음의 사이가 단 3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 3도란 온음 + 반음 관계로 이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이것을 다시 이야기하자면 으뜸음 1도가 어떤 건지에 따라서 간단하게 Dim7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구성음의 사이가 전부 단 3도의 관계라 Gdim7의 3도 음 B♭을 으뜸음으로 하면 B♭dim7 코드가 됩니다.
이것의 구성음은 B♭, D♭, E, G가 됩니다. 또한 D♭dim7 코드는 D♭, E, G, D, 그리고 Edim7 코드는 E, G, B♭, D♭가 됩니다. 으뜸음만 다를 뿐 결국 코드 구성음은 전부 똑같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만들 수 있는 코드는 12개의 코드가 아닌 3개의 코드라고 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첫번째 형태 | 두번째 형태 | 세번째 형태 | 네번째 형태 | |
코드1 | Cdim7 | D#dim7 = E♭dim7 | F#dim7 = G♭dim7 | Adim7 |
코드2 | Ddim7 | Fdim7 | G#dim7 = A♭dim7 | Bdim7 |
코드3 | C#dim7 = D♭dim7 | Gdim7 | Edim7 | A#dim7 = B♭dim7 |
그러면 여기서 기타 코드 1개를 가지고 분석해 봅시다. 이번에는 Cdim7 코드입니다.
먼저 구성음을 확인해 봅시다. 1도는 당연히 C입니다. 5번 줄 3 프렛에 존재합니다. 3도인 Eb은 2번 줄 4 프렛에 있습니다. 5도 Gb은 4번 줄 4 프렛에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7도 A는 3번 줄 2 프렛에 있습니다. 더블 B플렛이기 때문에 A가 됩니다. 위의 코드폼은 제가 정말 많이 사용하는 코드폼입니다. 나중에 코드폼 포스팅에서 한 번 더 설명드리겠습니다.
밑의 표는 각 코드의 구성음입니다.
Cdim7 | D#dim7 = E♭dim7 | F#dim7 = G♭dim7 | Adim7 |
C, E♭, G♭, A | Eb, G♭, A, C | F#, A, C, E♭ | A, C, E♭, G♭ |
Ddim7 | Fdim7 |
G#dim7 = A♭dim7 | Bdim7 |
D, F, A♭, B | F, A♭, B, D | A♭, B, D, F | B, D, F, A♭ |
C#dim7 = D♭dim7 | Gdim7 | Edim7 | A#dim7 = B♭dim7 |
C#, E, G, B♭ | G, B♭, D♭, E | E, G, Bb, D♭ | A#, C#, E, G |
마치며
이번 포스팅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선을 다해 설명을 해봤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이제 Dim코드에 대한 감이 어느 정도 잡히셨으니 다음 포스팅에서 다양한 코드 폼들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질문이나 다른 의견 있으면 꼭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음악 이론 > 화성 (Ch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렉기타 필수 코드 - 파워코드 (0) | 2023.02.12 |
---|---|
특이한 느낌의 Aug 코드 (0) | 2023.02.05 |
다양한 코드 표기법 - 3화음 (Triad chord) (0) | 2023.01.26 |
Sus2 = 2 코드 이론 (0) | 202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