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 이론35

코드이론 - mM7 코드 이번에 분석할 코드는 mM7입니다. 이 코드는 여러분이 거의 한 번도 보지 못했던가 아니면 진짜 어쩌다 한번 보셨을 코드일 겁니다. 일단 이 코드의 특징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색깔이 분명하지 않은 애매모호한 코드입니다. 사용빈도가 많지 않은 코드이지만 이런 것도 알아두는 것도 여러분에게 공부가 될 것입니다. 그러면 시작해 보죠. 마이너 메이저 7 코드 구성음 마이너 메이저 7 코드는 어떻게 구성이 돼있을까요? 7 코드의 한 종류인 만큼 4화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단 마이너 하면 떠오를 수 있는 것은 바로 3도입니다. 몇 번이나 누누이 말씀드렸지만 3도는 메이저코드냐 아니면 마이너 코드이냐를 결정지을 수 있는 게 바로 3도의 기능입니다. 여기서는 마이너이니까 당연히 3도를 반음 내려서 사용하게 됩니다.. 2023. 1. 8.
코드이론 - M7코드 (Major7)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이저 7 코드에 대해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메이저 7 코드 또한 다른 7 코드들처럼 4화음을 사용하고 다만 구성음의 일부만을 바꾼 것뿐입니다. 메이저 7 코드 구성음 Major 7: 1, 3, 5, 7 메이저 7 코드는 기존의 메이저 코드에 7도를 추가한 코드입니다. 7 코드나, m7 코드와 다른 점은 b7이 아닌 일반 7도를 사용합니다. 메이저 코드는 뭔가 긍정적인 분위기를 주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이 메이저 코드의 특징입니다. 여기에 메이저 7도를 더하면 밝은 분위기를 넘어서 신비롭고 아름다운 분위기로 만들어줄 수 있는 것이 메이저 7 코드의 특징입니다. 저만 그렇게 느끼는 건지 모르겠지만 다른 7도 코드들과 비교해보고 나서 저는 확실히 이렇게 느꼈습니다. 그러면 예시로 FM7 코.. 2023. 1. 7.
코드이론 4 - m7 (마이너 7코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너 7 코드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기타 연습을 하면서 마이너 7 코드를 숱하게 잡아봤지만 어떻게 이러한 폼이 발생됐는지 알기 위해서는 구성음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m7 코드 마이너 코드의 특징은 어둡고 서정적인 느낌을 주는 게 특징입니다. 기존의 마이너 코드에 7도 음을 붙여서 만들어진 것이 마이너 7 코드입니다. m7코드 구성음: 1, ♭3, 5, ♭7 1도와 5도는 그대로 유지하고 3도가 마이너이기 때문에 3도를 반음 낮추고 7도는 그냥 7이기 때문에 반음 낮춥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Dm7 코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여기서 루트는 D가 됩니다. 그리고 3도는 마이너가 아닌 메이저일 경우에는 F#인데 마이너코드가 됨으로써 F로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5도.. 2023. 1. 5.
코드이론 3 - 7th 코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7th 코드에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이 기타를 배우다 보면 메이저 마이너 코드를 우선순위로 배우게 되고 그다음으로 보게 되는 익숙한 코드들이 바로 7 코드들입니다. 7 코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첫 번째로 7th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7 코드의 특징 7 코드는 메이저스케일의 7번째 음을 추가한 것이 7 코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C메이저 스케일로 예를 들어보자면 '시' 음을 집어넣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3화음이 아닌 4화음을 쓰는 게 7 코드의 특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7 코드의 종류로는 7 코드, m7코드, M7코드, Aug7코드, Dim7코드, m7(♭5)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앞서 이야기했듯이 4화음을 .. 2023. 1. 3.
기초 음악 이론 8 - 악상기호 2편 1편에 이어서 2편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편에서는 늘임표와 악보에 항상 나오지만 정작 어떤 의미인지는 잘 몰랐던 반복기호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늘임표 (Fermata) 악보에 이런 표시가 있는 것을 보셨나요? 보통 이 표시는 악보의 엔딩 부분이나 여운을 더 남기려 할 때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기존의 박자보다 1.5배에서 3배 정도 끌어서 노래하거나 연주하라는 의미입니다. 4분 음표는 한 박인데 늘임표 기호가 있다면 3박에서 5박 사이정도 더 끌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00년대 초반에 했었던 드라마 '불새'의 OST인 이승철의 '인연'이란 노래를 아시고 계시나요? 거기서 제일 마지막 부분 가사인 "나는 정말 그댈 사랑~ 해요" 이 부분에서 ".. 2022. 12. 31.
기초 음악 이론 7 - 악상기호 1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악상기호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악상기호는 여러분이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음악시간에 한 번쯤은 들어봤을 녀석들일 것입니다. 악상기호를 통해서 곡의 흐름이 단조롭고 지루해지지 않도록 다채로운 감정을 넣어주는 것이 바로 악상기호의 역할입니다. 1) 셈여림 기호 (Dynamic Mark) 셈여림 기호란 음의 크고 작음을 의미합니다. 소리의 높낮이는 단순히 소리가 크다, 작다라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다양한 분위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소리의 높낮이가 다채롭지 않으면 지루하고 단조롭게 들립니다. 그래서 셈여림 기호를 사용하여 필요한 부분에서는 여리게 또는 세게 연주하여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긴장감을 주는 것이 바로 셈여림 기호의 역할입니다. 기호 명칭 철자 의미 .. 2022. 11. 19.
코드이론 2 - 마이너 코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너 코드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마이너 코드는 메이저 코드 구성음에서 3도 음만 ♭3도로 만든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거 역시 3개의 음만 사용한 코드입니다. 1, ♭3, 5 코드 마이너 코드는 메이저 코드와 다르게 어둡고 서정적인 느낌을 주는 코드입니다. 이거 역시 메이저 코드처럼 12가지가 있습니다. 마이너 코드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도와 3도 사이: 온음 1 + 반음 1 3도와 5도 사이: 온음 2 메이저 코드랑은 반대입니다. 1도와 3도 사이가 온음 2개이고 3도와 5도의 사이가 온음 1개에 반음 1개로 이루어진 반면에 마이너 코드는 그 반대이죠. 여기까지 이해가 되셨다면 본격적으로 몇 개의 코드를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A 코드와 Am 코드.. 2022. 11. 10.
코드이론 1 - 메이저 코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드 이론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코드는 한음 이상의 음을 동시에 연주하거나 노래를 했을 때를 뜻합니다. 보통 코드는 음이 많이 추가될수록 다채로워지지만 너무 많이 들어가면 소리가 불분명해져 코드의 느낌을 나타낼 수 없게 됩니다. 그런 것을 흔히 말하는 "불협화음"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코드는 보통 3개의 음을 합친 3화음이나 4개를 합친 4화음이 가장 이상적인 화음이기 때문에 이것을 토대로 많은 코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 첫 번째로 메이저 코드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3, 5 도를 기억하자 메이저 코드는 1,3,5 도의 코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도'란 숫자 뒤에 붙는 단위입니다. 스케일에서 단순히 숫자만 말하는 게 아닌 몇 도 몇 도 이렇게.. 2022. 11. 4.
기초 음악 이론 6 - 딴이름 한소리, 옥타브 이번 포스팅에서는 딴 이름 한소리랑, 옥타브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1) 딴 이름 한 소리 (Enharmonic) 딴 이름한 소리는 이름 그대로 같은 소리이지만 명칭은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변화표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소리의 이름이 결정됩니다. 아래의 피아노 건반 그림을 보시겠습니다. 이렇게 보시니까 이해가 되시나요? 계이름 C를 기준으로 #을 넣었을 경우는 C#이 됩니다. 반면에 D에서 b을 사용하면 Db이 됩니다. 두 개는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결국 소리는 같습니다. 이뿐 아니라 더블 샵이나 프렛도 마찬가지입니다. B를 기준으로 더블 샵을 넣어서 B## 또는 BX로 만들거나 D#에서 더블 프렛을 집어넣으면 이름은 다르지만 결국 C와 D사이의 검은건반이 됩니다. 한음이라는 .. 2022. 10. 18.
기초 음악 이론 5 - 음자리표, 변화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음자리표와 변화표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음자리표와 변화표를 배움으로써 오선 악보에 있는 음표의 계이름을 명확히 알고 찾을 수 있습니다. 1) 음자리표 (Clef) 음자리표란 음들의 높낮이 위치를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서 존재합니다. 그래서 오선 악보에서는 가장 왼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서 다른 줄로 넘어갈 때도 계속 음자리표가 존재합니다. 음자리표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많이 사용되는 3가지의 음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가) 높은 음자리표 (G Clef = Treble Clef) 높은 음자리표는 악기 피아노를 기준으로 오른손으로 연주하는 멜로디나 코드를 표기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위에 빨간 동그라미 표시된 부분 즉 오선 악보 아래에서 2번째 줄 부분이 계이름.. 2022.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