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악 이론35 기초 음악 이론 4 - 박자표, 마디, 줄 1) 박자표 (Time Signature) 박자표란 악보에서 전체적인 흐름과 리듬을 결정해 주는 기호입니다. 이것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서 각 마디마다 들어가는 음표나 쉼표 박자 등이 달라지게 됩니다. 보통 악보에서 박자표는 가장 첫마디 왼쪽 부분에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4/4라고 마치 수학에서의 분수 표시로 되어있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마디 기준: 분자: 한마디의 음표 개수 분모: 단위 박자 (음표 종류) 즉 4분의 4박자라고 하는 것은 4분 음표가 한마디에 4개 들어와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고 꼭 4분 음표만이 들어와야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다른 음표를 써도 되지만 그것이 정확하게 4박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의 3번째 마디의 윗부분 .. 2022. 9. 22. 기초 음악 이론 3 - 스케일(Scale)의 개념, 온음과 반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케일의 개념 그리고 온음과 반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스케일의 개념에 대해서 잡는 것뿐이니 어렵고 복잡한 스케일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1. 스케일이란? 음악에는 12가지의 음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 몇 가지의 음을 선택하여 차례대로 나열을 해놓은 것을 스케일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들 수 있는 스케일은 무수하게 많은 종류가 존재합니다. 그 숫자는 대략 수백에서 수천도 넘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스케일은 10개도 되지 않습니다. 일단 이 포스팅에서 여러분이 배울 스케일 중 하나는 바로 메이저 스케일( Major Scale)입니다. 2. 메이저 스케일 (Major Scale) 메이저 스케일이란 "도레미파솔라시"라는 7개의 음으로 구성.. 2022. 9. 20. 기초 음악 이론 2 - 음표와 쉼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음표와 쉼표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음표와 쉼표를 모르고서야 악보를 정확히 읽을 수 없고 리듬이나 박자를 모르기 때문에 올바를 연주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확실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음표 음표는 연주 중에 소리를 내야 하는 부분을 음표라고 합니다. 생긴 게 콩나물처럼 생겼다고 해서 콩나물 표라고도 불리기도 했죠. 이것을 통해서 노래하는 사람들이나 연주자들이 이 음표에 맞춰서 노래하거나 연주함으로써 음악이라는 게 완성이 됩니다. 음표는 보통 머리, 줄기, 꼬리, 점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꼬리와, 점의 경우는 개수에 따라서 음표의 이름이 결정됩니다. 음표와 쉼표는 크게 점이 없는 민음표와 점이 있는 점음표로 나누어집니다. 먼저 민음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A) 민.. 2022. 9. 18. 기초 음악 이론 1 - 보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음악이론을 배우는 과정을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음악이론을 조금 배우기만 해도 금세 기타 실력이 늘 수 있다고 장담합니다. 이론을 알아야 악보를 볼 수 있고 왜 코드가 이렇게 만들어졌는지 각종 스트로크 리듬 패턴은 어째서 이렇게 만들었는지 등을 이론을 배움으로써 알 수 있게 됩니다. 1) 보표 (Staff) 위의 그림과 같이 5줄을 수평으로 나란히 그려놓은 악보를 보표라고 합니다. 보통 줄이 5개밖에 안 그려져서 오선 악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다 음표도 넣고 쉼표도 넣고 멜로디도 집어넣습니다. 다만 이 5줄에 모든 높낮이의 음을 집어넣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있는 게 바로 덧줄(Ledger Line)이라는 것입니다. 오선 위아래로 희미한 선에 음표가 있는 것이 보일 것입니다. 그게.. 2022. 9. 17. 통기타 또는 어쿠스틱 기타의 구조와 명칭 커다란 울림통이 있다고 해서 통기타, 포크음악에 적합하여 포크기타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 기타는 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현악기입니다. 그리고 어쿠스틱 기타와 통기타를 다르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만 사실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쿠스틱 기타란 기타 줄의 소리를 크게 만들어주는 속이 빈 몸체를 가지고 있어 그런 역할을 대신해 줄 전기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기타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속이 빈 몸체란 통기타의 바디 파트를 이야기합니다. 다시 말해 어떠한 전자장치 없이 자연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기타가 어쿠스틱 기타입니다. 결론은 통기타와 어쿠스틱기타는 같은 의미입니다. 예외로 픽업이란 장치를 통해서 얼마든지 전자장치를 설치하여 사운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픽업, 바디 이런.. 2022. 4.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